본문 바로가기
흥미정보

일본의 장수가게가 많은이유? / 일본의 와 문화

by -X- 2025. 3. 8.
반응형

반응형

일본에는 100년 이상 장수하는 가게(老舗, 시니세)가 있습니다. 심지어 300년, 500년을 넘어 1,000년을 이어온 기업도 존재하는, 일본만의 독자적이고 사회적인 요인이 있기 때문입이다

 

0.일본의 와 문화(和)


일본에는 왜 유독 오래된 가게가 많을까? 장인 정신 등등을 운운하며 역사와 전통을 중요하게 여기는 일본 특유의 문화 때문일 것이라는 어림짐작이 대부분일 것이다. 그렇다면 그 역사와 전통을 중시하는 문화는 왜 생겼을까?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심은 아마도 1400년 동안 일본의 정신 문화를 지배해온 ‘화(和)’ 문화 때문일 것이다. 일본어로는 ‘와(わ)’로 발음하는 ‘화’. 사전적 의미는 ‘서로 뜻이 맞아 사이가 좋은 상태’다. 화목하다, 온화하다에 쓰이는 바로 그 뜻.

우리나라 사람에게 ‘한(韓)’이 친근하듯 일본인에게 ‘와(和)’는 무척이나 익숙한 단어다. 우리는 우리 옷을 한복이라 부른다. 일본 사람들은 전통 의복을 와후쿠(和服, わふく)라고 한다. 우리가 우리 음식을 한식이라고 하듯 그들은 자신들 음식을 와쇼쿠(和食, わしょく)라고 한다. 우리가 우리 전통 과자를 한과(漢菓)라 부르듯 일본 사람들은 일본 과자를 와가시(和菓子, わがし)라고 한다. 우리나라 사람에게 ‘한’ 자체가 우리나라이듯 일본 사람에게 ‘와’는 그 자체가 일본이다.

사이좋게 지낸다는 미명의 억압

그렇다면 이 ‘사이좋게 지낸다’는 뜻의 ‘와’는 어떻게 일본의 정신문화가 되었을까? 사이좋게 지낸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상대에 대한 인정과 존중에서 비롯된다. 즉 각자의 자리에서 자기 분수에 맞게 자기가 해야 할 일만 하는 것이다. 이게 ‘와’의 기본이다.

우리나라가 그렇듯, 그리고 오랜 역사를 지닌 많은 나라가 그렇듯 일본에도 예전에는 신분 계급이 있었다. 최상위 계급은 천왕이다. 그 밑에는 천왕을 보좌하는 귀족이 있었다. 귀족 주변에는 귀족의 권위를 지켜주는 사무라이가 있었고, 그 아래에는 농·공·상민과 천민이 있었다.

 


각 계급에 ‘와’를 적용하면, 천왕은 천왕의 일을, 귀족은 귀족의 일을, 사무라이는 사무라이의 일을, 농·공·상민과 천민은 각자 자기 일만 하면 서로 사이좋게 지낼 수 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이 시스템이 잘 작동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간단하다. 천왕과 귀족은 하위 계급이 각자의 신분에 맞는 일을 정하고, 복종하게 하는 것 이다. 물론 이 시스템에서 자율은 없다. 개성이나 의견 따위도 없다. 그냥 정해진 시스템에 맞게 살아야 하는 것이다.

사이좋게 지내기 위한 명목이었지만 무척이나 경직된 제도였다. 이 시스템은 여러 장치를 통해 지속적으로 각인시키고, 스스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견고하게 유지되었다. 신분에 따라 입는 옷도 달랐다. 사는 집도 달랐다. 먹는 음식도 달랐다. 심지어 대문에 자신의 계급과 직업을 밝히는 문패까지 걸어야 했다. 이런 시스템은 길거리에서 보는 모습만으로도 신분을 확실하게 구분하게 했고, 때문에 자신의 신분과 해야 할 일 외에 다른 것은 쳐다볼 엄두도 낼 수 없었다. 혹시라도 이 시스템을 어기는 자는 시스템 유지를 위해 가차 없이 제거 되었다. 물론 이것은 사무라이의 몫이었다. 그건 사무라이가 해야 할 일이기도 했다.

‘와’ 사상의 영향으로 일본에서는 아주 오랫동안 이주의 자유가 없었다. 가장 높은 천왕 밑에는 천왕을 모시는, 일본의 역대 무신 정권인 막부의 수장 쇼군(將軍)이 있었다. 그리고 지방에는 영주인 다이묘 (大名)를 두어 각 지역을 다스리게 했다. 다이묘는 해당 지역에서 가장 큰 권력을 행사했다. 다이묘가 지배하는 지역에서 태어난 사람은 그곳에서 죽어야 했다. 이렇게 한정된 지역에서 사이좋게 지내기 위 해서는 자신의 역할에만 충실하며 상대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것 이 무엇보다 중요했다. 그것은 자신의 영역을 보장받는 일이기도 했다. 타인의 영역을 침범한다면 그것은 곧 반란이며, 자신의 행동에 따른 처벌을 받아야 했다.

예를 들어, 우동 가게를 운영하는 집안의 아들로 태어났다면 대를 이어 우동을 만들어야 했다. 매출을 늘리기 위해 길 건너편에 우동 가게를 하나 더 낸다면 그것은 타인의 영역을 침범한 것이다. 결국 처벌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운이 좋으면 집단 왕따인 이지메를 당하지 만 대부분 무라하치부(村八分)를 당하게 된다. 무라하치부는 에도 시대에 촌락 공동체 안에서 규칙과 질서를 어긴 자에 대해 집단이 가하는 제재 행위다. 지역의 모든 사람이 그 가족 전체를 투명인간 취급 하는 것이다. 이주의 자유가 없으니 평생 그렇게 살아야 한다. 말도 시키지 않고, 질문에 답하지도 않는다. 지역의 어떤 일에도 끼워주지 않는다. 평생 외로움 속에서 살아야 하는 것이다.

출처 : 리더피아(Leaderpia)(http://www.leaderpia.com)

 

1. 일본에서 가업이 오래 지속되는 이유

 

1) 심장가족의 전문성 (와문화)

  • 일본은 전통적으로 가업을 소중하게 여기며, 사업을 독특한 돈벌이 아닌 가족의 유산으로 여깁니다.
  • 가업을 이어가는 것을 누구보다도 생각하고, 창업자의 정신과 신기를 후대에 기여하려는 의지가 강합니다.

2) 분할제도(養子 結島) 활용

  • 일본에서는 가업을 받기에 적합합니다
  • 실제로 많은 노포(老舗)들이 혈연이 아니라, 깊게 전체를 통해 경영을 이어왔습니다.
  • 예를 들어, 1000년 이어온 건축회사 '곤고구미(金剛組)'도 혈연

3) 장인 정신과 품질 우선주의

  • 일본은 '장인 정신(職人精神, 쇼쿠닌 정신)'이 강하며, 한 가지 기술을 대대로 전수하는 문화가 있습니다.
  • 제품의 품질과 서비스의 일관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고객의 신뢰를 존중합니다.
  • 100년 이상

4) 국민의 유대감 (와문화)

  • 추억의 역사를 지닌 중요한 장난감 가게들은 지역 여러분에게 역할을 해드립니다.
  • 지역에 대한 정보를 알리고, 사회에서 신뢰를 받으며 세션을 이용하게 됩니다.
  • 일본의 전통행사 지역나 축제와 연계하여 가업을 유지하는 경우도 제외됩니다.

5) 유연한 혁신적 수용

  • 전통을 유지하면서 시대에 뒤떨어지는 혁신적인 혁신적인 스타일을 채택합니다.
  • 예를 들어, 300년 된 노포 라면 가게가 온라인 주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전통점을 운영하는 기업이 해외 시장을 개척하는 방식으로 생각합니다.

2. 일본의 100년 이상 장수 기업들

기업명캘리포니아 연도존재특징

곤고구미(金剛組) 578년 건축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기업, 일본 사찰 건축 전문가
호시 료칸(法師旅館) 718년 료칸(전통여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호텔, 46대 운영 중
겐지엔(源吉兆庵) 1600년대 전통 유압 일본 전통 화과자 브랜드화, 글로벌 성공 성공
츠루야 요시노부(鶴屋吉信) 1803년 제과 교토의 전통 화과자점, 장인정신 보존
긴자 도리후구(銀座となりふぐ) 1760년대 음식점 복어요리 전문점, 품질 유지를 권장합니다


3. 일본의 장수 기업의 문화적 요소

  1. 가업을 독창적인 사람이 아니라 '가치'로 친다.
    → 후대에 남길 별과 유명 가치를 정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다루어야 합니다.
    → 단기적인 수익보다 신뢰와 유명 구축이 중요합니다.
  3. 전통을 유지하면서 시대에 맞게 수용됩니다.
    → 혁신을 두려워하지 말고, 핵심 가치를 유지해야 합니다.
  4. 지역사회와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다.
    → 지역 주민들과의 힘을 강화하는 것이 생존의 핵심입니다.

일본의 노포 기업들이 이와 같이 개구리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는 이유는 독특한 장수 기업 전략이 아니라, 전통과 혁신의 반대, 그리고 가업을 추구하는 강한 의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